see through...

"Tesing도 ISO 표준이 정립되어 있다.  대충의 체계는 이렇다" 정도의 개론 수준의 세미나였다.  개론 수준의 세미나를 하더라도 뭔가 감동을 줄만한 것을 기대하는 것은 무리일까?
테스팅에 관해서도 CMMI 와 동일한 취지로 TMMi 라는게 있다고 한다.
표준과 측정 지표가 있다는 건 의미있는 일이다. 
테스팅에 대한 표준과 지표는 권고사항과 올바른 방향성에 대한 지침으로 생각되었으면 좋겠는데, 많이들 근본적인 취지보다는 형식적인 감사를 통해 인증을 받는데 주력하는 현실이 답답스럽다.  그리고, 무슨 공학, 무슨 기술이 뜬다고 하면, 핵심과 근본 취지도 파악하지 못하고, 밥벌이 하는데만 열을 올리는 문화는 근절되었으면 좋겠다.
바쁜(?) 나에겐 Practical 한게 중요하므로 간단한 요약서와 IEEE829 Template이나 조금 보도록 해야겠다.
일단 간단한 용어만 찾아보았다.

Input(activity) Output(deliverable) Description
test analysis test conditions
test design test cases
test implementation test procedures 테스트를 수행


6. Test case Specification

6.1 Purpose
To define a test case identified by a test design specification.

6.2 Outline
A test case specification shall have the following structure:
  a) Test case specification identifier;
  b) Test items;
  c) Input specifications;
  d) Output specifications;
  e) Environmental needs;
  f) Special procedural requirements;
  g) Intercase dependencies.

...

7. Test procedure specification

71. Purpose
To specify the steps for executing a set of test cases or, more generally, the steps used to analyze a software item in order to evaluate a set of features.

7.2 Outline
A test procedure specification shall have the following structure:
  a) Test procedure specification identifier
  b) Purpose;
  c) Special requirements;
  d) Procedure steps.

아 근데 표그리기 툴은 없나?  정리하기 넘 힘들다 ㅡ_ㅡ;;
Posted by 가자가자~ 감나무!
소프트웨어 개발/TDD l 2008. 8. 29. 17:56

최근에 올라온 글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7)
잡담 (0)
소프트웨어 예술 (0)
소프트웨어 개발 (6)
웹기술 (0)
OS & 유틸리티 (1)
사무환경 (0)
취미 (0)
Private (0)
PC(하드웨어) (0)

달력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tistory!get rss Tistory Tistory 가입하기!

공지 사항

최근에 달린 댓글